우아킹의 힐링세상

신도기연 주가 전망 알아보자 본문

주식 정보

신도기연 주가 전망 알아보자

우아킹 2020. 7. 6. 15:07

 

콩~~~~하

콩콩이 여러분 점심 많이 드셨나요.

 

오늘이어서 알아볼 종목은

신규상장한 신도기연이라는 곳입니다.

 

상장하자마자 안좋은 소식이지만 ㅠ.ㅠ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바로 알아보도록 할게요.

 

 

신도기연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입니다.

신도기연은 주식회사 신도기연으로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shindo 입니다.

신도기연은 2000년 08월 03일 설립되었네요.

 

신도기연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가 깔끔하네요.

신도기연은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신도기연은 벤처기업에 해당합니다.

신도기연은 대한민국에

대리인 관련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신도기연 관련 사업 내용들입니다.

신도기연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입니다.

신도기연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입니다.

신도기연 특례상장 관련 내용입니다.

신도기연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변경내역입니다.

신도기연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내역입니다.

신도기연 최대주주의 변동 내역입니다.

신도기연 상호의변경 내역입니다.

신도기연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신도기연은 합병등을 한경우가 없습니다.

 

신도기연 사업의변화는 없습니다.

신도기연 중요 연혁표입니다.

신도기연 자본금 변동현황표입니다.

신도기연 주식의 총수 현황입니다.

신도기연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현황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신도기연 의결권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는

6,722,280주로 발행주식 총수와 같습니다.

신도기연 주요배당지표 입니다.

신도기연 사업 관련 아이템입니다.

 

신도기연 사업관련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89년 8월 박웅기 대표이사님은 당시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업계가 해외 업체 대비 

경쟁력이 월등히 열세인 상황에서 해외,

 특히 일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장비(FPD, Flat Panel Display)의 

국산화를 선도하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신도기연의 모태인 신도기연을 창업

(2000년 8월 법인 전환)하였으며,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을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하며 사업 기회를 모색해왔다네요.

신도기연은 1990년대말 개발한 탱크 방식

탈포기 등 LCD 공정 장비를 삼성전자에

납품하면서 본격적으로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매엽식 탈포기(STA)의

개발 및 수출을 통한 해외진출로

사업 기반을 마련하였다합니다.

그리고 2004년 탈포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30분~1시간 → 1분~5분)

 In-Line형 탈포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국내외에 판매함으로써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2008년 진공 합착기(Vacuum Laminator)의 

개발로 평면 LCD 디스플레이, 곡면(3D) OLED 디스플레이등

점점 다양해지는 고객사의 니즈에

부응하며 성장을 거듭해 왔다네요.

또한, 2010년대 중반 Flexible OLED 시장이

태동하는 시기에, 당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가장자리에 굴곡이 있는 '엣지형'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을 위한 곡면

진공 합착기(3D Vacuum Laminator)를 2015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현재까지

당사의 주력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합니다.

향후에도 디스플레이 시장은 Flexible 형태에서

 더욱 나아가 Foldable, Bendable 등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적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모바일 부문 이외에 차량,

 TV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신도기연은 국내 1세대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로서,

지난 30년간 디스플레이 업계를 선도적으로

이끌었던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 및 고객사의 요구에 긴밀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네요.

 

또한,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 뿐만 아니라

수소 연료전지 장비 및 진공 유리 장비 등

신사업 부문을 보다 확대하여 매출원 다각화

및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입이라합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공정은 크게 

"결정화 → 증착 → 봉지 → 셀 → 모듈" 

5가지 공정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답니다.

 

일반적으로 "결정화 → 증착 → 봉지"

공정까지의 단계를 전공정이라고 하며,

"셀 → 모듈" 공정까지의 단계를

후공정이라고 지칭한다네요.

당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의 후공정 중에서

 모듈 단계에서 완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커버글라스, 필름, 편광판, 터치센서 등을 

부착하는 합착(Laminating) 공정과 미세 기포

 및 먼지를 제거하는 탈포(Autoclave) 공정

 관련 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합니다.

합착 공정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커버글라스(Cover Glass), 보호 필름, 편광판(Polarizer),

 터치센서패널(TSP, Touch Sensor Panel) 등 

각종 부품들을 겹쳐 붙이는(합지) 공정으로서,

 이 때 사용하는 장비를 합착기(Laminator) 라고 한다네요.
합착기 종류는 크게 롤 방식(Roll Laminator)과

 진공 방식(Vacuum Laminator)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합니다.

롤 라미네이터(Roll Laminator)는 원장 필름을

 롤(Roll)에 감아 롤이 기판 위를 지나가며 

압력을 가해 부품들을 부착하는 방식이라네요.

 

기존 Rigid 패널(LCD 및 Rigid OLED 패널)에서 

사용되는 평판 형상의 커버 윈도우에 터치센서

 또는 광학 필름을 부착 시에는 Roll Laminating

 방식을 통해 롤러로 터치 센서 또는 광학필름을

 압박하여 커버 윈도우에 부착하도록 하는 

필름 부착장치가 사용되었다합니다.

 

그러나 일반 대기압에서 진행하게 되는

롤 라미네이팅 공정에서는 저렴하고 기술력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품에 국부적인

압력이 가해지게 되며, 대기압 공정에 따른 기포

유입 위험성이 존재하고 Rigid한

제품(LCD, Rigid OLED 등)에만 합착이

가능한 점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네요.

 

결론적으로 롤 라미네이터(Roll Laminator)로는

Flexible 패널(Flexible OLED)를 합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네요.

이러한 단점을 상쇄시킬수 있는 새로운 장비가

 진공 라미네이터(Vacuum Laminator)이며, 

3D 라미네이터(3D Laminator) 라고도 부릅니다. 

 

해당 장비는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곡면 형태(3D)의 

글라스에도 문제없이 필름을 적층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장비로 자리 매김하였다네요.

 

진공 챔버 내에서 균일한 압력을 통해 압착을

진행하는 방식이므로 단단한(Rigid 또는 Hard)한

소재도 문제없이 합착할 수 있으며,

기포 유입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합니다.

다만 합착 및 탈포 공정은 통상 In-Line System으로

 합착에 필요한 공정을 하나의 장비로

 묶어서 수주하게 됩니다. 

이에 하나의 In-Line System 안에는 Roll Lamination이

 가능한 장비(Roll Laminator)와 Vacuum Lamination이

 가능한 장비(Vacuum Laminator)가 모두 포함되어

 제작되며, 가격이 훨씬 비싼 특징이 있다합니다.

현재 당사가 목표로 하는 주력 시장은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이라네요. 특히, 중국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은 최근 5년간 대규모

자본 투자 및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LCD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해 왔으며,

향후에는 현재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가 90% 이상

장악하고 있는 OLED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네요.

 

이에 따라,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의

OLED 디스플레이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당사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합착기, 탈포기 분야에서 중국 업체들의

대규모 디스플레이 장비 투자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합니다.

신도기연 주요 목표시장개요입니다.

신도기연 디스플레이 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업체로서

주요 목표 시장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

및 IT기기 SET 생산업체이며, 중국 BOE, Tianma,

CSOT, Visionox 등 중국 Top 4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 및 국내 S사의 주요 협력업체로서

거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네요.

주력 제품인 합착기와 탈포기는 전방 시장인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가 LCD에서 OLED로

변화하면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가 평평한 Rigid

형태 (LCD, Rigid OLED)에서 유연한 Flexible

형태(Flexible OLED, Foldable OLED)로

변화하면서 신도기연의 사업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합니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Flexible화 되려면 

커버글라스 (Cover Glass 또는 Cover Window), 

봉지재 (TFE, Thin Film Encapsulation), OLED소자,

 박막트랜지스터 (TFT, Thin Film Transistor),

 기판(PI Substrate) 등의 패널 구성품이

 유연하게 구부려져야 한다고 합니다.


Flexible 디스플레이는 Rigid 형태의 디스플레이보다

 합착 공정 난이도가 더 높아졌으며, 향후 현재보다

 더 굴곡이 큰 Flexible 디스플레이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합착 기술의 중요성은 점차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네요.

특히,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은 LCD에서의

 경쟁력 확대를 OLED 시장으로 옮겨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은 국내 업체와의 제품 차별화를

통해 OLED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을

계획하고 있답니다.

 

특히, 모바일 분야의 중소형 OLED 디스플레이의

선두인 삼성디스플레이가 선점하고 있는 곡면(3D)

디스플레이(엣지형 디스플레이) 시장으로의

공격적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하고 있는 곡면(3D) 디스플레이(엣지형 디스플레이)보다

훨씬 굴곡이 큰 Flexible 디스플레이를 만들어

차별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네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자동차 산업은

 안전성, 편의성 제고를 중심으로 하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배기가스 저감을 중심으로 하는 친환경차라는

 2가지 트렌드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라네요.

 

 특히, 2015년 12월에 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파리협정이 채택된 이후,

 친환경차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합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자원의 한계성 및

 에너지 소비량 증가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절약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부 

차원의 지원 및 규제가 진행되고 있다네요.

 

이에 따라 국내 및 국외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으로서 에너지소비

 절약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라 합니다.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11년에

 발표한 '국가 건물에너지 종합정보 활용방안

 개발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건축물의 경우 

소비되는 에너지는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2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 절감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합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제로에너지건물(ZEB)

 보급 활성화를 추진하기로 하였다네요.

지난 2016년 1월 19일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의

 개정에 따라 2017년 1월 20일부터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제를 시행하였다네요.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의미하며,

 2020년까지 공공건물에 의무화하고 

2025년까지는 민간건물로까지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라네요.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의 경우 최종 고객사의

 제품 로드맵에 대한 정확한 방향성과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핵심 

제조 공정 기술을 선제적으로 연구개발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네요.

신도기연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 경험 및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사와 유기적인 협력 및 영업력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비 및 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랍니다.

또한, 신도기연에서는 디스플레이 장비와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를 응용한

제품에도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네요.

특히 실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는

Smart window와 에너지 절감형 진공유리의

공정 기술 및 제품화를 연구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적용될 저탄소 녹생성장 및

Passive house(첨단 단열공법을 이용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한 건축물)에 매우

밀접한 사업으로 당사의 추가적인

미래 성장 동력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뿐만 아니라, 수소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MEA)

 제조 공정 기술 개발도 진행하여 차세대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 연료전지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기술 진입장벽을 

구축하는 데에도 주안점을 두고 있다합니다.

신도기연 연구개발 진행 현황표입니다.

신도기연 연구개발비용 표입니다.

신도기연 회사의 기본 정보입니다.

아이템을 보고 매출액이 조금 높을줄 알았는데

800억원대 기업이네요. 종업원 수는 84명입니다.

신도기연은..오늘 상장했는데

많이 안타깝습니다 ㅠ.ㅠ

sk바이오팜과 비교가 많이되는군요.

 

-26%이며

거래량은 5,295,019

거래대금은 141,269백만입니다.

 

신도기연은 시총 1,894억원으로

시가총액순위 코스닥 340위 입니다.

신도기연 오늘의 차트입니다.

아래로 쭉.. 내려가고 있네요

신도기연 기업실적표입니다.

영업이익률이 매우 좋은 편이네요.

역시 제조업중에선 반도체분야가 좋은듯 합니다.

종목토론실을 봐도

분위기는 좋은편이 아니네요 ㅠㅠ

 

 

지금까지 신도기연이라는 회사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도기연이라는 회사 자체만 보면

괜찮은 회사이며 성장가능성이 높은 회사인데

투자를 하기에는 조금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할 기업으로 보입니다.

 

 

콩콩이님들의 성투를 기원하며

글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신도기연 외 최근 이슈 종목글을 보고싶으시다면

아래글을 참조해주세요.

 

https://4498jh.tistory.com/66

 

셀트리온 주가 전망 알아보자

콩~~하 콩콩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종목검색에서 내려오지 않는 종목중 하나인 셀트리온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상한가는 아니지만 꾸준한 상승을 하고 있어서 투자자님들의 꾸준

4498jh.tistory.com

 

https://4498jh.tistory.com/68

 

씨젠 주가 전망 알아보자

콩~~~하 콩콩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벌써 장마감이 다가오고 있네요 ㅎ 오늘 SG충방에 이어 소개해드릴 회사는 씨젠이라는 회사입니다. 코로나 이후 더더욱 유명해진 회사중 하나입니다. 바로 시

4498jh.tistory.com

 

https://4498jh.tistory.com/69

 

일양약품 주가 전망 알아보자

콩~~~~하 콩콩이님들 안녕하세요. 금요일장은 엄청난 상승은 아니지만 다들 성투하셨나요? 일양약품은 인기검색에서 하두 내려오지 않길래 저도 관심있게 보았던 회사입니다. 바로 소개해드리��

4498jh.tistory.com

 

 

Comments